Programmer:)
[Jenkins-Pipeline] Jenkins(Mac...Windows..) - GitLab 연동 본문
[Jenkins]Mac 에서 설치 방법
##homebrew, cask 설치 필수 #터미널에 아래 명령어 입력 brew install --cask jenkins # 설치완료 후 아래 명령어 입력 brew services start jenkins # 인터넷브라우저에 localhost:8080 입력 그러면 아래 페이..
ryeggg.tistory.com
Unity - Jenkins(iMac) 연결하기
#Jenkins Plugin Manager 에서 Unity3d plugin 설치
#gitLab 도 설치
#왼쪽 메뉴 바 에서 Jenkins 관리 클릭 -> Global Tool Configuration 클릭.
# 하단 Unity3d 클릭하여 Unity.app 경로를 추가해준다.
# GitLab SSH key 등록 및 Jenkins 등록하기
(작업을 mac에서 하다가 windows에서 하다가 왔다갔다함... Mac에서 하는 법 추가 할 예정..)
Windows SSH Key 생성법
(Windows)
#깃 다운로드 후 [gitbash] 실행
Git
git-scm.com
#[gitbash] ~/.ssh 입력 ssh key가 이미 생성되어있는지 확인작업
(난 생성되어있어서 저렇게 나옴 아니라면 생성으로)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tRIim/btrzQFovUOc/reAyPv47zptSPfHr1PhKF1/img.png)
#[gitbash] ssh-keygen -t rsa -b 4096 -C "사용자명 or 이메일" 입력
엔터누르라고 하면 엔터엔터엔터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QFFYZ/btrzRV5TJtv/RIKmyQYev8ObiOEKebSkmk/img.png)
#[gitbash] cat ~/.ssh/id_rsa.pub 입력하면 아래 ssh-rsa~~ 의 키값이 나옴 이 부분 복사 (gitlab에 붙여넣기)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t8k72/btrzSz2DSYx/KeYYo7IsHwkxd8ZYaN2k41/img.png)
#[gitbash] cat ~/.ssh/id_rsa 입력하면 private key 확인 가능 이부분 복사 (jenkins에 붙여넣기)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X3R9a/btrzVAT6eZf/ckA7L13r9eI589sSYAI5u1/img.png)
MAC SSH Key 생성법
# cat ~/.ssh/id_rsa.pub 입력 ssh key가 이미 생성되어있는지 확인작업
no such file or directory : 없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UlF4k/btrCS0BUEiV/JfLfV0bXffs0e7rifCJ8Zk/img.png)
#ssh-keygen
enter.enter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lBxp7/btrCJLlwbDJ/qK5w3VhF2MhbPxYXekEY50/img.png)
+ ssh-keygen을 입력했는데 id_rsa 가 생성되어야 하는데 id_ed25519 가 생성된다면.
ssh-keygen -t rsa -b 4096 -C email(식별자) 로 입력하면 생성된다.
# cat ~/.ssh/id_rsa.pub 입력하면 아래 ssh-rsa~~ 의 키값이 나옴 이 부분 복사 (gitlab에 붙여넣기)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sRDDO/btrCVfyzPCK/Dcmvu2RKiVTsT91dychBVK/img.png)
#[gitbash] cat ~/.ssh/id_rsa 입력하면 private key 확인 가능 이부분 복사 (jenkins에 붙여넣기)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2ibyv/btrCMLZndCp/pciUBLofAcdYjeKdvxRF81/img.png)
# [gitlab] 설정 - ssh keys 로 들어가 복사한 key 값 붙여넣기 후 add key 클릭
#[jenkins] Jenkins관리 > Manage Credentials
private key입력란에 복사한 key 값 붙여넣기 후 create 클릭
#[jenkins] 파이프라인 생성
#[gitlab] Pipeline 에서 Hello world 클릭 후 하단 Pipeline Syntax 클릭
#[jenkins] 아래 참고하여 입력. credentials에는 privatekey 입력한 설정 연결 (잘 연결됐다면 빨간에러 안뜸)
Generate Pipeline Script 클릭 후 생성된 내용 복사
#[jenkins] 생성한 파이프라인 스크립트를 복사하여 하단 그림과 같이 붙여넣기 한 후 저장
#[jenkins] 지금 빌드 클릭 후 기다리면 gitlab clone이 잘 생성됨
만약 빨간 에러가 뜬다면 확인할 작업
1. ssh 키를 다시 발급 받아서 위 등록 작업 다시 진행
2. pc와 jenkins에 git이 설치 되어있는지 재확인
3. jenkins에 pc에 git 설치된 경로를 등록 했는지 확인
'DEV > Jenkin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Jenkins] Unity - IOS Build , Xcode 아카이브 방법 (0) | 2022.04.29 |
---|---|
[Jenkins] Pipeline Script (환경변수, input, 병렬작업) (0) | 2022.04.25 |
[Jenkins] SSH연동 (freestyle, Pipeline) (0) | 2022.04.25 |
[Jenkins-Pipeline] Pipeline 구성 (commandline 인자 값 받아오기) (0) | 2022.04.21 |
[Jenkins] 빌드 자동화 Jenkins (0) | 2022.04.12 |